반응형
단축키 변경
Option -> Keyboard 에서 Edit Shortcut 할 수 있음
바인더와 에디터를 이동하는 단축키는 Win + Alt + E --> Ctrl + Tab 으로 변경해두고 사용 중
다크모드
파일 > 옵션 > 좌하단의 Manage (좌하단이 잘 안 보여서 못 찾음)
기본 스타일 (No Style 문서의 기본 표현방식)
옵션 > Editing > Formatting 에서 문서창의 글자모양 변경
(노트, 커멘트 등을 설정하지 않도록 주의)
창 수평분할
각 폴더의 우상단의 네모를 누르면 최대 크기로 보기
포커스 변경 단축키
디폴트가 좀 괴랄하지만 다 바꾸기 귀찮으므로, 바인더로 가기를 Win+\ 로 바꿔놓는다 (바꾸는 법은 옵션 > Keyboard)
바인더 변경이 영향을 주는 곳
기본값은 Current Editor. 오른쪽 창을 참고용 창으로 쓰려면 Left Editor로 바꿔두는 게 좋다.
아웃라인 항목 변경
문서 우상단의 맨 오른쪽, 코르크 뷰 옆에 있는 것으로, 폴더 등 하위문서가 있는 레벨에서 선택해야 의미있는 뷰가 나옴.
디폴트에는 글자수 옵션이 안 보이므로, View > Outline Option > 원하는 항목을 추가할 것 (Character Count 등)
각주/ 인라인주석 /주석/인라인각주
한글 버전은 Comments/Footnote가 주석/각주로 왔다갔다 번역되어 많이 헷갈릴 듯 하다.
Comments는 공동작업자(또는 저자)가 작업 중 의견을 남기는 용도, Footnote는 독자에게 참고사항을 전달하는 각주 원래의 용도로 사용된다.
명령 제목 | 주요 기능 | 단축키 |
Comments | 컴파일 했을 때 주석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, 개인 의견처럼 작게 표시된다. (MS Word의 메모/커멘트 등의 기능과 유사) | Shift + F2 |
인라인 주석 (Inline Annotation) |
인라인 주석은 본문에만 표시되고, 컴파일했을 때에는 반영되지 않음 (저자용 메모 기능) | Shift + Alt + F2 |
각주 (Foot Note) |
컴파일 했을 때 일반적인 문서의 주석처럼 남는다 | Shift + F5 |
인라인 각주 (Inline footnote) |
본문 내에 표시되지만 나중에 컴파일시에는 각주로 남는다. | Shift + Alt + F5 |